top of page
heartadd logo.png
간편문의
업무시설_수정본_v2.png

상상하던 모든 것,
하트애드와 함께 현실로.

설치 문의

당신의 공간에 생명을 더해보세요.

Untitled (12).png

광고 문의

시청자를 참여자로 전환하는 인터랙티브 광고.

Untitled (13).png
업무시설_수정본_v2.png

AED 보관함과 성과형 광고,
한 번에 해결

설치 문의

AED 보관함 무료로
​업그레이드해보세요.

Untitled (12).png

광고 문의

시청자를 참여자로 전환하는 인터랙티브 광고

Untitled (13).png
업무시설_수정본_v2.png

AED 보관함과 성과형 광고,
​한 번에 해결

설치 문의

AED 보관함 무료로
​업그레이드해보세요.

Untitled (12).png

광고 문의

시청자를 참여자로 전환하는 인터랙티브 광고.

Untitled (13).png
설치문의2_3 수정.png

하트애드 스탠드의
설치 가치

건물에게는 “생명을 살리는 브랜딩"
사회적 책임을 보여주는 브랜딩을 통해 설치 허가자와 깊이 있는 신뢰 관계를 형성

숙박시설_수정본.png

공익과 브랜드를 함께 전달하는 인터랙티브 광고 매체입니다.
하트애드 스탠드는 단순한 설치를 넘어, 기존에 배치된 주변 AED가 더욱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. AED 사용법, 주변 AED 위치, 면책조항 안내 등 AED 관련 핵심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여, AED가 제대로 작동하는 환경 AED Ecosystem을 구축합니다.

​하트애드 스탠드를
모르는 분들을 위해

Group 29.png

건물의 미관을 업그레이드해주고 투박한 디자인의 기존 보관함 대신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으로 공간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
터치형 UI를 통해 방문객과 직접 소통하는 정보 허브로 기능합니다.
건물 안내 정보와 광고 콘텐츠를 함께 제공하여 AED 위치를 자연스럽게

드러내 위급 상황 시 더 빠른 대응이 가능합니다.

하트애드 스탠드 설치 예시

AdobeStock_420788461.jpeg

대한민국의 AED 보급률은 OECD 평균을 웃도는 7만 대 정도를 보유하고 있으며
약 인구 1만 명당 6.1대 수준으로 꾸준히 보급이 확대되어 공공시설과 500세대 이상 아파트 등 다양한 공간에 의무적으로 설치되고 있다.

하지만, 실제 일반인의 AED 사용률은 한 해 기준 50건 미만 즉, 1% 미만으로 매우 낮아 설치는 충분하나 응급 상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.

그 이유는 하나, 미관 상의 이유로 사용되지 않도록 방치되어 있기 때문이다.

(출처: 질병관리청·대한심폐소생협회)

많이 설치되어 있지만,
실제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는데..

AED 사용률의
현실​​​

jair-lazaro-0lrJo37r6Nk-unsplash.jpg

소방청 질병청 제13차
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 개최

급성심정지 환자
​생존율 8.6%

소방청과 질병관리청은「제13차 급성심장정지 조사 심포지엄」을 개최하고,  2023년 한 해 동안119구급대가 의료기관으로 이송한 급성심장정지 환자를 대상으로 결과를 발표했다.

통계자료에 따르면 한해 동안 발생한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약 3만 건이었다.
환자의 생존율은 8.6%이지만, 심폐소생술 시행 시 뇌기능회복률이 2.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, 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과 회복에 심폐소생술이 매우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.

(출처: 공동 보도자료 - 소방청·질병청 제13차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 개최)

michel-e-fSO8pdTu8Pk-unsplash.jpg

심폐소생술은 심정지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‘기적의 치료법’이다. 특히 골든타임 4분 이내 심폐소생술과 자동심장충격기(AED)를 병행하면 환자 생존율을 80%까지 높일 수 있다.
이러한 응급처치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관련 교육은 물론, 소규모 사업장과 일반 가정에서도 AED 를 구비해두고 있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.

(출처: 헬스경향 ‘4분의 기적 돕는 원동력 ‘AED’, 좀 더 특별하게 만난다’,2017)

4분의 기적 돕는
​원동력, AED

심폐소생술과 AED 병행 시
​생존율 80%, 3배 증가

설치문의2_3 수정.png

하트애드 스탠드의
설치 가치

건물에게는 “생명을 살리는 브랜딩"
사회적 책임을 보여주는 브랜딩을 통해 설치 허가자와 깊이 있는 신뢰 관계 형성

숙박시설_수정본_edited_edited.jpg

공익과 브랜드를 함께 전달하는 인터랙티브 광고 매체입니다.
하트애드 스탠드는 단순한 설치를 넘어, 기존에 배치된 주변 AED가 더욱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. AED 사용법, 주변 AED 위치, 면책조항 안내 등 AED 관련 핵심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여, AED가 제대로 작동하는 환경 AED Ecosystem을 구축합니다.

​하트애드 스탠드를
모르는 분들을 위해

Group 29.png

건물의 미관을 업그레이드해주고 투박한 디자인의 기존 보관함 대신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으로 공간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 터치형 UI를 통해 방문객과 직접 소통하는 정보 허브로 기능합니다.
건물 안내 정보와 광고 콘텐츠를 함께 제공하여 AED 위치를 자연스럽게 드러내 위급 상황 시 더 빠른 대응이 가능합니다.

하트애드 스탠드 설치 예시

AdobeStock_420788461.jpeg

대한민국의 AED 보급률은 OECD 평균을 웃도는 7만 대 정도를 보유하고 있으며
약 인구 1만 명당 6.1대 수준으로 꾸준히 보급이 확대되어 공공시설과 500세대 이상 아파트 등 다양한 공간에 의무적으로 설치되고 있다.

하지만, 실제 일반인의 AED 사용률은 한 해 기준 50건 미만 즉, 1% 미만으로 매우 낮아 설치는 충분하나 응급 상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.

그 이유는 하나, 미관 상의 이유로 사용되지 않도록 방치되어 있기 때문이다.

(출처: 질병관리청·대한심폐소생협회)

많이 설치되어 있지만,
실제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는데..

AED 사용률의 현실​​​

jair-lazaro-0lrJo37r6Nk-unsplash.jpg

소방청과 질병관리청은「제13차 급성심장정지 조사 심포지엄」을 개최하고,  2023년 한 해 동안119구급대가 의료기관으로 이송한 급성심장정지 환자를 대상으로 결과를 발표했다.

통계자료에 따르면 한해 동안 발생한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약 3만 건이었다.
환자의 생존율은 8.6%이지만, 심폐소생술 시행 시 뇌기능회복률이 2.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, 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과 회복에 심폐소생술이 매우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.

(출처: 공동 보도자료 - 소방청·질병청 제13차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 개최)

급성심정지 환자
​생존율 8.6%

소방청 질병청 제13차
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 개최

michel-e-fSO8pdTu8Pk-unsplash.jpg

심폐소생술은 심정지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‘기적의 치료법’이다. 특히 골든타임 4분 이내 심폐소생술과 자동심장충격기(AED)를 병행하면 환자 생존율을 80%까지 높일 수 있다.
이러한 응급처치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관련 교육은 물론, 소규모 사업장과 일반 가정에서도 AED 를 구비해두고 있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.

(출처: 헬스경향 ‘4분의 기적 돕는 원동력 ‘AED’, 좀 더 특별하게 만난다’)

4분의 기적 돕는
​원동력, AED

심폐소생술과 AED 병행 시
​생존율 80%, 3배 증가

생명을 위한 설치와,
​사람을 향한 광고

bottom of page